교통은 어려워~~~

Domain knowledge를 쌓아가는 것이 나의 숙명

전체 글 17

[노트북] 갤럭시북4 프로 16인치 시네벤치

갤북프4 출시소식에 헐레벌떡 업어왔다.사실 궁금했던건 메테오레이크였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갤북3 프로 360을 처분하고 웃돈 조금 얹어 사왔다(...)전작과 확실히 비교되는건 저반사 코팅. 아주 짱짱하니 좋다. 뉴페이스니까 벤치를 안 돌려볼 수는 없겠지? 시네벤치 R23 결과를 가져와봤다.   R23기준 멀티코어 12,457pt / 싱글코어 1,746pt스펙: 16인치 / 울7(155h) / 32G / 512G세팅: 삼성세팅 고성능 / 윈도우 고성능 / 10분 테스트  성능은 그럭저럭 봐줄만 한 것 같다....만아직 저전력 환경에서 AMD(7840u)를 이기긴 힘들어보인다. 특이사항은 최고 온도가 이름에 걸맞게 메테오 수준이다. 107도 와우  그래도 인텔 감성 못 잃어...   아무튼. 내가 갤북프..

전자기기 리뷰 2024.01.28

[SUMO 이야기] #5. SUMO 튜토리얼: 교차로에 신호등 만들기

저번에 신호등 만드는 법을 까먹고 안 적어서 추가한다. netedit을 켜고, 네트워크 파일을 로드한다.  그런 다음, 상단의 Traffic light mode를 활성화 시켜준다.  mode에 진입한 후, 만들고 싶은 교차로를 클릭하고 좌측의 Traffic Light Programs 탭에서 Create를 눌러주면 다음과 같이 신호체계가 만들어진다.  이제 신호등이 만들어졌으며, 좌측의 창에서 Phase에 대한 duration, state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저 알파벳들은 각 차로에 할당된 신호이므로, 직접 바꿔가면서 어떤 차로에 어떤 신호가 걸려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신호등 관련 작업이 끝났으면 네트워크 파일을 저장한다.

SUMO 이야기 2023.12.15

[SUMO 이야기] #4. SUMO 튜토리얼: 시뮬레이션 실행하기

4. 시뮬레이션 실행하기파일이 모두 준비되었다면, netedit을 다시 켜서(또?) configuration file을 만들어줘야 한다. 이 configuration file이란 실질적으로 시뮬레이션을 running하는 파일이다. 그냥 바로 traci에서 호출해서 돌릴 수도 있는데, 시각적 편의를 위해서 미리 configuration file에 묶어놓는 편이다. netedit을 켜고, network 및 additional file을 불러온다. 참고로 additional file을 불러오는 버튼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와 additional 파일을 불러왔으면 route 파일도 불러와준다. File 탭의 Demand Elements를 통해 로드할 수 있다. 모든 파일의 로드가 끝났으면, File 탭의 Su..

SUMO 이야기 2023.12.15

[SUMO 이야기] #3. SUMO 튜토리얼: 라우트(route) 파일 만들기

이어서 작성이다.2. TAZ 지정하기수요는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지만,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나는 별도의 군더더기 없이 직접 route file을 만드는 편이다. 또한 수요를 발생시키는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 Origin-Destination pair를 직접 지정하고 flow 또는 vehicle을 발생시키는 방법과, 경로를 미리 만들어서 Traci를 통해 차량 단위로 생성을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route file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먼저 Origin, Destination으로 지정할 TAZ를 정의한다. 본 네트워크는 Zone이라고 불릴 정도로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에, 그냥 edge 하나를 Zone으로 지정할 것이다. 아무튼 netedit을 다시 켜야한다. 네트워크를 ..

SUMO 이야기 2023.12.15

[SUMO 이야기] #2. SUMO 튜토리얼: 실전 네트워크 구성하기

SUMO를 처음 설치하고 나면 초보자는 당장 무엇을 해야할지 모르기 마련이다(나 또한 그랬다).  일단은 다음 링크로 접속하여 Beginner Tutorial에 대한 내용들을 눈으로 훑어보자.https://sumo.dlr.de/docs/Tutorials/index.html Tutorials Beginner Tutorials SUMO User Conference Tutorials The SUMO User Conference is an anual event organized by the German Aerospace Center (DLR) in Berlin. Since 2015, each conference begins with a SUMO tutorial session. Below you can find ..

SUMO 이야기 2023.12.14

[SUMO 이야기] #1. SUMO 튜토리얼: SUMO 설치 및 Traci를 위한 가상환경 세팅 (VScode)

SUMO를 선택하기로 마음먹었는가? 웰컴 투 헬^^  당신은 어떤 이유에선지 모르겠지만 미시교통 시뮬레이션으로 SUMO를 선택했으며(아마 공짜라는 것과 마음대로 시뮬레이션을 드리블 할 수 있다는 장점에 여기로 흘러들어왔을 확률이 높다), 비로소 SUMO라는 정보의 바다에 던져질 준비가 된 것이다.   당신은 이제부터 SUMO의 수많은 기능과, 수많은 오류와, 그리고... 무엇보다도 파이썬과 친해질 것이다. 또한 감사하게도, 문명의 발달이 GPT-4라는 세기의 역작을 만들어냈다(OpenAI 만세!). 이 인공지능도 SUMO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니, 공부를 하면서 함께 쓰면 매우 좋다. 참고하시길. 아무튼, 첫 포스팅은 역시 SUMO 설치 및 가상환경 세팅부터 시작한다. * 참고: 본 포스팅을 포함한 모..

SUMO 이야기 2023.12.14

[SUMO 이야기] #0. 그쪽도 SUMO를 아세요?

SUMO라고 들어보았는가? 열렬히 교통공학을 공부하는 학부생이거나 대학원생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이름일 것이다. SUMO는 Simulation of Urban MObility 라는 미시교통 시뮬레이션이다 [1]. 다른 시뮬레이션과는 다르게 매우 확장성이 높고, 자유로우며, 유연하고, 무엇보다도 공짜라는 점에서 최근 학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시뮬레이션이라고 보면 된다. 다른 시뮬레이션으로는 VISSIM, AIMSUN, MITSIM [2] 같은 다양한 것들이 있긴 한데... 사실 내가 SUMO를 주력으로 쓰기 때문에 다른 시뮬레이션은 잘 모른다. 그래서 당분간은 SUMO 얘기만 하게 될 듯 싶다. 아무튼 SUMO가 어느 정도로 자유롭냐면, 젤다의 전설마냥 "이게 될까...?" 싶은 것들이 거진 다 된다고..

SUMO 이야기 2023.12.10